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튀니지] 주간 경제 동향 ('24.01.24.~31.)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2-03
조회수
33

(정보제공 : 주튀니지대사관)



튀니지 주간 경제 동향 ('25.01.24.~31.)



  ㅇ (2024년 내국인 투자 56.14억 디나르) 주재국 고등투자청(TIA, Tunisian Investment Authority)이 1.28(화) 보도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전년도 내국인 투자 규모는 이전해 대비 7.1% 증가한 56.14억 디나르에 달하며, 투자 비중은 △재생에너지(+150%), △서비스(+43%), △제조업(+3%) 순으로 드러났고, 일자리 창출은 98,557개로 6.7% 상승


     - 전년도 총 내국인 투자의 68%는 기업설립 등 신규 사업에 집중되었으며, 투자 규모는 38억 디나르, 일자리 창출 71,381개(신규 고용의 72%)

   

       ※ (4대 분야별 투자 분포 및 고용 창출 비중) ▲제조업 투자 비중은 52%로 2023년 대비 3% 증기, 일자리 45,000개(46%) 창출, ▲농업 투자 비중은 22%(12억 디나르)로 13.2% 감소, 일자리 16,521개(17%) 창출, ▲서비스 투자 비중은 20%(11.22억 디나르)로 43% 증가. 일자리 36,005개(37%) 창출,  ▲재생에너지 투자 비중은 5%(3억 디나르)


             -(제조업 분야 투자 분포) ▲전자?기계 38%(이중 55%는 자동차부품제조), ▲세라믹?유리 33%, ▲합작투자 28%(15.36억 디나르)


       ※ (주요 지역별* 투자 규모) ▲튀니스 6.72억 디나르, ▲시디 부지드 5.47억 디나르, ▲자구안 4.69억 디나르, ▲케루안 4.37억 디나르, ▲스팍스 3.9억 디나르, ▲나불 3.46억 디나르, ▲비제르트 3.19억 디나르, ▲수스 2.67억 디나르, ▲모나스티르 2.51억 디나르, ▲벤 아루스 2.49억 디나르


         * 전국 24개 주 중 내국인 투자가 가장 두드러진 10개 주 선별


  ㅇ (달러 채권 상환으로 외환보유고 13% 감소) 주재국 재무부는 1.29(수) 10년 만기 달러 채권(Dollar Bonds_10 years_5.75% $1.000B Reg S_30/01/2025) 관련, 원금 10억 달러 및 이자 5.75천만 달러*를 상환한바, 주재국 외환보유고는 하루 사이 13% 감소**한 233.25억 디나르(수입일수 104일)를 기록함.


     * 이번 채권 상환액은 15일치 수입액에 해당하는 총 33.66억 디나르에 해당

     ** 1.28(화) 기준 267억 디나르, 수입일 수 119일   


      - 상기 대출은 주재국이 국제 금융시장에서 대출 받은 중 가장 큰 규모로, 2015.1월 메흐디 조마 정부가 5.75% 이자율로 계약하였으며, 당시 주재국의 국제신용평가는 Fitch Ratings가 BB-(부정적) 전망, Moodys가 Ba3(부정적) 전망을 내놓은바 있음.


  ㅇ (아프리카-유럽 투자 포럼 개최) 함마메트에서 아프리카-유럽 투자 포럼* 이 1.25(토)-27(월) 개최된바, △튀니지 석고제조기업과 카메룬 기업간 업무 협약 체결, △리비아 기업들의 對튀니지 투자 증대, △주재국 올리브유의 아프리카 수출 협의 개시 등 실적이 도출되었으며, 금년 4월 및 10월 확대된 형태의 포럼을 재차 개최할 예정임.  


      * 리비아, 알제리, 콩고, 니제르, 토고, 아이보리코스트, 카메룬, 이탈리아 및 튀니지 기업들과 주재국 투자 전담 기관(전경련(UTICA), 산업혁신청(APII), 농업투자진흥청(APIA) 관계자 등 참석


      - 리비아의 Derna지역 재건축 전문업체와 사료제조업체는 각각 對튀니지 투자를 확정, 주재국의 제르바 및 수스에 지사를 설립할 계획이며, 리비아 경제대표단은 업무협약 체결을 목적으로 수스, 제르바, 메드닌 및 타타윈에 소재한 5개의 스테인리스 스틸, 플라스틱, 석고 제조업체를 산업 시찰


  ㅇ (튀-이탈리아 에너지 혁신 강화 추진) 튀니지 전력가스 공사(STEG)와 이탈리아 전력공사 TERNA社간 전문성 공유를 목적으로 1.29(수) 주재국에 에너지 혁신 클러스터 Terna Innovation Zone*이 개설된바, 착수식에 참가한 Wael Chouchane 산업?에너지·광물부 에너지 전환 특임 차관은 축사에서 양사간의 경험공유를 통해 주재국의 에너지 혁신을 견인할 플랫폼이 될 것이며, 전력 생산 증대 및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나아가 주변국인 리비아, 알제리 및 이탈리아와의 전력 공유(El Med 프로젝트)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함.


      * TERNA社의 아프리카 최초 에너지 혁신 클러스터이며 동 분야에 대한 주재국과 이탈리아간의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의지 상징      

  

  ㅇ (튀-노르웨이, 재생에너지 협력 추진) Wael Chouchane 산업·에너지·광물부 에너지 전환 특임 차관은 1.29(수) 노르웨이의 재생에너지 전문 기업 Scatec社의 Anne-Marie Lillejord 부회장을 접견한바, 시디 부지드 주 메주나 지역에 100MW 용량의 태양광발전소를 건설하는 신규 사업에 대해 의견을 교환함.  


     - Scatec사는 주재국 남부 토죄르 주 및 시디 부지드 주에 각각 50MW 용량의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발전소 건설 사업을 이미 진행 중이며, 향후 풍력발전 사업에도 참여할 의지를 재확인.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